b__ono__ng
[WOL] 누워서 PC 끄고 키기 본문
팀원분이 WOL 정보를 공유해주셔서 아주 감사하게도 설정해서 쓰고 있다.
WOL(Wake On Lan)은 쉽게 말해 외부에서 PC를 on 하는 기능이다.
장점을 먼저 얘기하자면,,, 나는 PC와 맥북이 있다. 자기 전에 맥북으로 이것저것 하는데, 코딩을 한다던가 PC에 볼일이 생기면 그냥 누워서 WOL로 PC 켜서 원격 붙고, 볼일 다 보면 끌 수 있다,, 이거 정말 굉장해 엄청남,,
방법도 아주 간단하다. 준비물은 다음과 같다. (윈도우: WOL 적용 대상 PC, 맥북: 원격으로 붙을 PC)
- 윈도우 PC의 외부 IP 주소 : https://www.findip.kr/
- 윈도우 PC의 내부 IP 주소 : cmd > ipconfig /all
- 윈도우 PC의 MAC Address : cmd> ipconfig /all
- 공유기 관리 페이지 주소/계정/암호 : 공유기 관리 페이지 주소 검색하면 공유기마다 나옴
- 비어있는 포트 : 모르겠으면 그냥 좋아하는 숫자 4개 ex) 7979
- 윈도우 PC에 로그인 되어 있는 구글 계정
- WOL 앱 : 앱스토어나 구글플레이 등에서 검색 ex) wolow (앱스토어)
준비물이 준비되었다면,, 세 가지 과정이 남았다.
- PC가 WOL 패킷에 적절히 반응하도록 변경
- 공유기가 WOL 패킷을 PC에 포트포워딩 하도록 변경
- PC에 WOL 패킷을 송신할 수 있도록 앱 세팅
[1] 먼저, PC가 WOL 패킷에 반응하려면 두 가지를 세팅한다.
- BIOS -> Settings -> Advanced -> Wake Up Event Setup -> Resume by PCI-E Device [Enable]
- 제어판 -> 전원옵션 -> 전원단추 동작 설정 -> 현재 사용할 수 없는 동작 설정 변경 -> [빠른 시작 켜기] 해제 -> 변경된 내용 저장
- 제어판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 이더넷 -> 속성 -> 구성 -> 고급 -> [Wake on 매직 패킷] 활성화 -> [Wake on 패턴 일치] 활성화 -> 확인
두 가지 모두 버전이나 제조사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다. 나는 MSI/Windows11 에서 이렇게 했다.
[2] 설정을 완료했다면, 포트포워딩을 설정해줘야 한다. 나는 KT 공유기에서 이렇게 진행했다.
- 공유기 관리 페이지 주소 접속 (KT의 경우는 172.30.1.254:8899) -> 로그인 -> 장치 설정 -> 트래픽 관리 -> 포트 포워딩 설정 -> 아래와 같이 입력 후 [추가] 클릭
- 외부 포트 : 비어있는 포트 입력 (ex, 7979)
- 내부 IP 주소 : 172. ... or 192. ... or ...
- 내부 포트 : 비어있는 포트 입력 (ex, 7979)
- 프로토콜 : ALL (ALL로 입력하라고는 하는데,, 이 패킷 UDP로도 들어오나,, 귀찮아서 알아보진 않았음)
- 설명 : WOL
- 나머지 항목은 빈 항목 (오류날 경우, ip에 0.0.0.0 입력)
[3] 마지막으로, PC에 WOL 패킷을 송신할 앱을 세팅한다. 나는 앱스토어에 wolow라는 앱이 있길래 이걸 썼다. 준비해 놓았던 아래 정보들을 앱에서 요구하는 형식에 맞게 입력한다. 아마 4개 정도를 입력할 것이다.
- 외부 IP
- 내부 IP
- MAC Address
- 포트
[4] 이제 WOL 앱으로 패킷만 날려주면 컴퓨터를 킬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니다! 킬 수 있으면 끌 수도 있어야 한다.
"Google Remote Desktop" 을 검색하면 Chrome에서 플러그인으로 원격을 붙을 수 있다.
PC만 켜져 있으면 언제든 원격을 붙을 수 있으니, 이걸로 원격에 붙어 있다가 컴퓨터를 종료하면 된다.
물론 윈도우에 구글 A 계정이 로그인되어 있다면, 맥북에서도 구글 A 계정으로 붙고 끄고 해야한다.
귀찮아서 그림이나 사진은 안 올렸다. 제 친구 고양이라도 보고 가세요
'IT > Exper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WOL] WOL이 다음 날 동작하지 않는다면 (0) | 2025.03.26 |
---|---|
Error - The "freeze_support()" line can be omitted if the program is not going to be frozen to produce an executable. (3) | 2024.12.15 |
mmcv install error (2) | 2024.08.24 |
[ffmpeg] 폴더 내 모든 동영상 frame으로 나누어 저장하기 (2) | 2024.03.31 |
[AWS] EC2와 Studio의 학습 속도 차이 프로파일링 (1) | 2023.11.22 |